전문정보
마라톤과 울트라마라톤 수행에 의한 근육 및 연골의 손상저자명초록
이 연구는 마라톤 풀코스(42.195km)와 울트라 마라톤(200km) 경기에 의한 근육과 무릎연골의 손상지표의 변화를 구명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이 연구의 대상자는 잘 훈련된 마라토너 198명으로, 마라톤 대회에 참여하여 완주한 7명과 200km대회에 참가한 146명으로 구성되었다. MRI 측정은 마라토너 45명을 대상으로 연골상태를 분석하기 위해 무릎 관절 MRI,를 촬영하였으며, 마라톤 경기 전·중·후 및 회복기의 근육과 관절 손상 지표의 변화를 분석하기 위하여 마라톤 풀코스의 경우 출발 1시간 전, 10, 20, 30, 및 42.195km 완주 직후, 완주 1시간 경과 후, 완주 후 6일간 매일 일정한 시간에 총 12회에 걸쳐 채혈하였다. 한편 울트라마라톤(200km)의 경우 경기출발 12시간 전, 100km 및 200km 지점과 완주 후 6일간 매일 일정한 시간에 총 9회에 걸쳐 채혈과 혈액지표를 분석하였다. MRI 촬영 대상자들은 MRI를 촬영하여 대퇴골과 경골 무릎 부위의 관절연골 두께를 측정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근육 손상지표인 CPK는 마라톤 풀코스의 경우 출발 전에 비해 완주 직후 약 6배로 증가(p<.05)되었으며, 경기 종료 5일 경과 후 출발 전 수준으로 회복되었다. 울트라마라톤(200km)의 경우 출발 전보다 100km지점에서 약 19배, 200km 종료지점에서 약 90배로(p<.05) 증가되었으며, 경기 종료 6일 경과 후 출발 전 수준으로 회복되었다. 관절 손상지표인 COMP 농도는 마라톤 풀코스의 경우 출발 전에 비해 완주 직후에 유의하게 증가되었으며, 경기 종료 2일 경과 후 출발 전 수준으로 회복되었다. 울트라마라톤(200km)의 경우 COMP 농도는 출발 전에 비해 100km 지점과 200km 종료 지점에서 유의한 증가를 보였으며 경기 종료 6일 경과 후 출발 전 수준으로 회복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마라톤 풀코스의 경우 출발 전 수준으로 회복되는 데에 5일, 울트라마라톤의 경우 6일이 소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릎관절의 MRI 자료 및 분석 결과에 의하면 LFC (Lateral Femoral Condyle;바깥쪽 대퇴 관절융기의 연골)의 두께는 2.05±0.6mm, LTC (Lateral Tibial Condyle; 바깥쪽 경골 관절융기의 연골)는 3.4±0.8mm, MFC (Medial Femoral Condyle; 안쪽 대퇴 관절융기의 연골)는 2.24±0.5mm, MTC (Medial Tibial Condyle; 안쪽 경골 관절융기의 연골)는 2.2±0.5mm 이었으며, 나이·신장·체중·운동경력·마라톤과 울트라마라톤 참가횟수, 마라톤 풀코스 평균기록과의 상관은 없었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biochemical changes related to muscle and cartilage damage and cytokine secretion during marathon (42.195km) and prolonged endurance exercise. one hundred ninety eight well trained amateur marathoners and ultra-marathoners were participated in the present study. Blood samples were obtained from subjects who were participated in marathon race (42.195 km) before race, every 10km and recovery D1h and D1-D6). Blood samples were obtained from ultra-marathon runners at pre-race, 100km, 200km, D1-D6. MRI of knee joint were obtained at Y hospital. The CPK increased significantly(6x) from pre-race value after marathon race (42.195km and recovered after 5 days after the race. However, it was increased significantly at 100km (19×), and further increased after 200km (90×) and recovered after 6 days after ultra-marathon race (200km). The COMP, bio-marker of cartilage injury,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marathon race and recovered after 24 hours, however significantly increased at the distance of 100km and further increased at 200km but recovered after 6 days after ultra-marathon race (200km). No significant deformation of cartilage was found in morphology and thickness in knee-joint. In conclusion, the present study demonstrated that most of biochemical parameters related to muscle and cartilage damage after marathon and ultra-marathon races were significantly further increased at the end of the race. However, the duration of recovery period was similar regardless in both muscle and cartilage between two races.
원문무료 다운로드국회도서관 (비로그인)한국교육학술정보원 (로그인)